구성방법은 cli로 기술합니다...

구글에 검색하면 한글로된 글은 하나밖에 안보이고...

더군다나...3par를 쬐끔이라도 할줄 아는 사람 아닌이상

가독성이 너무 떨어져서...올려봅니다

 

3par 구성시 순서는

cpg 생성 > vv 생성 > host생성 > 생성된 vv를 host와 연결

이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1.CPG 생성

그냥 데이터 담을 껍데기 만든다고 생각하면됩니다...

 

createcpg -t r5 -ssz 6 -ha mag -p -devtype SSD ljtest_r5

-t : 레이드 타입 

-ssz : 사용할 데이터  패리티 갯수 ex)6=4데이터,2패리티 

-ha : mag , cage >> 안정성과가용성에 관련된 옵션 

-p : cpg 우선순위 지정(기본값은 2) 우선순위가 높은 CPG 우선적으로 용량을 할당받으며디스크 공간이 부족할 때는 우선순위가 낮은 CPG 할당을 줄입니다. 

-devtype SSD  > disk type FC케이블이  수도있고 SSD 될수도 있음 

그뒤에는 생성할 CPG 이름 

 

 

2. vv 생성

createvv -i 777 ljteset_r5 ljtest_10G 10G

createvv -i [ID넘버] [생성한cpg] [새로만들vv명] [용량](GB,T)

createvv -tpvv -i 777 [생성한cpg] [새로만들vv] [용량](GB,T)

중간에 -tpvv는 씬볼륨으로 생성한다는 뜻이고 -tpvv를 안넣을경우 그냥 디폴트값으로 풀볼륨으로 됩니다.

ID넘버는 showvv로 보고 자신이 지정하고픈 ID값을 넣어주면됩니다

당연히 비어있는 ID값을 넣어줘야됩니다

3. host생성

이제 생성한 vv를 연결해야겠죠?

그러면 받는 상대방을 지정해주는 그런 과정이라고 생각하면됩니다.

우리는 아직 볼륨을 생성해서 던져준게 아니여서 호스트랑 맵핑을 시켜도 아직은 안보입니다

 

createhost –persona “ID” <host name> <host WWN>

위에서보면 -persona "ID"라고 되어있는데

이부분은 각 OS별로 최적화된 정보들이 담겨있다고 생각하면됩니다...

그래서 persona ID에 각 OS별로 설정된 ID값을 넣어줘야합니다

4. 만든 vv를 호스트에 할당

createvlun Synergy_SP_Bay1 19 Synergy_SP_Bay1
createvlun [vv이름] [lun넘버] [생성된host이름]

여기 까지되었다면

리눅스 lsblk든 fdisk든 보시면 아마 던진 용량이 잘 붙어있을껍니다...

vmware라면 데이터스토어에 보일꺼고...

 

저도 공부하는 입장이라 제방법이 아닌 순서가 다른다거나 다른방식으로 하시는분도 있을껍니다...

반박시 님말이 맞음...

사진은 퍼옴

위와 같이...풀뱅크로 전부 메모리를 끼워넣으면 원래 기본 메모리 MHz보다 속도가 안나오는 현상이 있다...

내 메모리도 5600MHz제품으로 샀는데 보니까 웬걸 4883? 이런 터무니없는 요상한 값으로 찍히던 ㅡ ㅡ

왜그런가했더니 인텔12세대 부터 나오는 버그라나 뭐라나...여튼 이걸 해결할라면 램오버를 해야한다...

z보드 이상이면 가능함...h보드랑b보드는 해결방법이 없을듯...

 

여튼 하기 전에 어쨋든 지금 상황은 오버클럭을 해야하는 상황이므로 주의할것

전압을 잘못넣거나 MHz를 너무 과도하게 넣어서 메모리가 뻗거나 컴터가 고장나도 제탓이 아닙니다.

제가 넣은대로 넣는다고 전부다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사용자가 직접 값을 찾으셔야합니다.

기가바이트 Z790기준으로 설명합니다

F2눌러서 어드밴스드 모드 진입하면 위와같이 설정이 많이 나옵니다

그상태에서 Tweaker 메뉴로 진입 후 System Memory Multiplier를 선택해서 자신이 원하는 값을 선택합니다

저는 애초에 램이 5600인터라 그냥 5600으로 했습니다

그후 제일 하단에 있는 DDR5 Voltage Control 진입

이중에 VDD A0 Voltage 와 VDDQ A0 Voltage를 1.320V로 변경해 줍시다

만약에 위와 같이 변경후 나갔는데 부팅이 안된다 하시면

Voltage 값을 직접 하나하나 넣어가면서 찾으셔야합니다...

 

그리하여 부팅이 제대로 잘되면 안정화 테스트 같은 프로그램 몇번 돌려보시면됩니다.

저는 다행히도 5600으로 제대로 잘 나오네요...

제가 한건 램오버를 전문적으로 하기보단 원래 5600인 램이 제대로 안나와서 제대로 잡아준것뿐

제대로된 램 오버는 제글말고 구글에서 더검색해보시면됩니다ㅠㅠ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가바이트 z790 BIOS 업데이트 (check id error)  (0) 2023.02.15
Z790 AORUS ELITE 장착기  (0) 2023.02.15

엊그제 z790을 산뒤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하기 위해 열심히 기가바이트 사이트 뒤져서

업데이트를 다운받고 USB 메모리 포맷해가면서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진행했다...

그런데 왠걸...

이런 오류만 내뿜어 버린다...

그러다가 기가바이트가 파일을 잘못올렸을 수 도있으니 같은 z790이지만 다른 버전들로 해봐라라는 말을 봐서

다 다운받아서 했지만 역시나 모두 실패...

 

흠...그러던중...뭔가 이상해서 z790박스를 봐버림...

 

띠용...? rev가 1.0이아니라 1.1인것이였다...

 

그렇다...내가 받던건 rev 1.0의 버전이였다...

ㅡㅅㅡ...그래서 check id error를 뿜던것이였다...

결론은 1.1버전에서 bios 업데이트는 안나와서 아직은 업데이트를 할 필요가없다...

usb 3~4개가 한번에 맛탱이가 갔나 라는생각으로 포맷왕창해서 했는데...이런 함정이...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 DDR5 풀뱅크시 속도 저하 해결  (0) 2023.02.24
Z790 AORUS ELITE 장착기  (0) 2023.02.15

영롱한 Z790보드...

바꾸게된 이유는 간단하다... 앱플레이어를 3개이상 키면 컴터가 죽을려고 하고...

무려 이번에 나온 호그와트 레거시를 하면...엄청난 프레임 드랍이 발생한다... ㅡㅅㅡ...그래픽카드만 3080ti면 뭐해...

cpu가 구려가꼬 그냥 프레임드랍 오져버리는데...

그래서 큰맘 먹고 싹다 갈아엎기로 결정!!!

호우호우호우 따끈따끈한 메인보드...

여태까지 살면서 m-atx보드만 써왔던터라 ATX보드는 처음보는데 이거 엄청 크다...;;케이스에도 간신히 낑낑대면서 넣었음...

방열판도 이렇게 큰건 처음봄...호고곡...

그전에 쓰던 B460M보드였나...박격포인데...그거랑 비교해보면 박격포 메인보느는 그냥 응애 수준...방열판도 겁나 작고..허...

I/O 쉴드도 장착되서 나오는듯...이건 편하고 좋구먼...보다 싶이 제일좋은건

USB포트가 넉넉하다 못해 남아돈다....

그전에 쓰던 보드는 USB포트가 모질라가꼬 USB포트 연장케이블까지 사서 주렁주렁 메달아 놓았는데....이건 그럴 필요가 음슴

CPU랑 메모리랑 쿨러까지 장착하니...뭔가 그럴듯해보임...

대장급 쿨러라는 어쌔신3샀는데...너무 크다...이정도 크기인데 대장급아니면 그건 뭔가 잘못된것...

최종장착...

선정리는 귀찮아서 그냥 안해버렸음... 선정리 너무 귀찮기도하고... 케이스도 작아서 어디 숨길곳도 없고...뭘 할 수가없어서 그냥 이렇게 냅둠...

 

최종적으로 내컴터의 스펙은

CPU : i7-13700F > 오버를 할 필요도 모르겠고 이유도 모르겠어서 그냥 13700보다 싼 13700F로함...어짜피 글카는 달려있으니까

M/B : GIGABYTE Z790 AORUS ELITE
GPU : ASUS TUF 3080TI 

MEM : 32GB DDR5 5600

Power : 1050W 인데 어디꺼더라...까묵음...

내돈내산!!! 돈 많이들었다...오래오래써야지...

 

오늘 슈퍼돔 마운트하는데... 가이드 pdf가 좀 이해하기 애매하고 요상하길레 작업하면서 한 방법토대로 작성해봄니다

마운트 레일 위치 확인

앞면 위 아래에 베젤 마운팅 >> 이건 앞면 상판때기 입니다 >> 클립형 너트로 저 위치에 맞게 장착할것

슈퍼돔 박스 해제하면 렉레일이 한 박스에 길게 2개씩 들어있음

슈퍼돔에 붙는 레일과 서버 렉에 붙히는 렉 레일이 하나로 결합되어있음

그래서 서로 두개를 분리해주면됨 동글동글 바퀴달려있는게 서버에 붙는넘임...

사진이 없어서 말로 대체함...

 

 

그리고 위에 사진처럼 레일 뒷쪽부분이 나사로 뭔가 고정되어있는데

렉에 맞게 뒤에꺼 완전풀어서 고정한다음 그다음 살짝 나사를 풀어서 움직일 수 있게 조정해서 마운트하면됨

그뒤에 꼭 풀른나사 꽉 쪼일것

이게 위치를 보면 뭔가 어정쩡해보이는데 나사 체결부위가 U시작하는 곳부터(눈금 그려져서 시작되는 부분) 체결하면됨

 

 

그리구 놀랍게도 이쪽부분이 앞면이다...

하드는 뒷쪽에 장착됨...

 

위 사진대로 서버에 레일 마운트는 결합부위가 있는데 그 결합부위대로 끼워넣으면 껴짐

그 후에 나사로 위에 표시된곳을 쪼일것 > 쪼일때 맨 우측 그러니까 앞면일때는 뒷쪽 나사체결하는곳 거기는 구멍보면

저 위치에 나사를 박을수 없음 나사구멍이 안나있기때문 그럼 바로 밑에 나사 구멍있으니 거기에 박으면됨

 

그런뒤 랙에 마운트하면 끝! 겁나 무거우니 꼭 2명~3명에서 같이 작업하세유

 

그리구 베젤 뭐시기 장착할라면 맨 위에 사진 참조해서 위처럼 장착하면 됨...

근데 위에 그림 보면 알겠지만 나사조이는곳 앞에 뭔가 튀어나와서 1자로 나사를 못쪼임 ㅡ ㅡ

그래서 비스듬하게 넣어서 쪼이면됨

 

그다음 베젤이라고 불리는 이 서버 앞가리개 같은거 장착하면 끝

요건 서버 모델명이 우측하단에 표기되도록 꼽으면 끝

 

그리고 hpe에서 만든 슈퍼돔 랙이 아닌이상 문이 안닫힘...문 뜯고 선 작업하고 문 뜯고 써야함

 

'HPE' 카테고리의 다른 글

3PAR Storage 구성방법  (0) 2023.04.17
DL580 Gen10 메모리,CPU 교체하는 방법  (0) 2023.01.11

뚜껑 따주셈

그다음 뒤에 HBA,NIC카드 꼽는곳 들어올려서 분리

이때 Gbic꼽혀져있으면 Gbic싹다 분리해야함

가운데 불투명한 판때기 들어내기

아마 내 기억엔 판때기 들어낼때 중간부분에 누르는 버튼이 있던걸로 기억함 그거 누르고 빼야지 빠지던걸로 기억

 

그러면 메모리 교체 할 수 있음

아마도 위에 보이는게 1번 2번 cpu자리 이면서 1번 2번 cpu랑 같이있는 메모리 위치임

 

그 밑에있는건 어캐 빼느냐

앞에있는 시스템 쿨링팬 탈거 하고

퍼렁거 눌러서 들어올리면 하단 부분인 3번 4번 cpu 교체 및 메모리를 교체할 수 있다

 

cpu순서가 위에가 1번 2인지 아래가 1번 2번인지 헷갈리니 뚜따하면

뚜껑에 메모리 순서적혀져있는곳에 써있으니 그거 참고 하면 됩니다

 

출처 : https://support.hpe.com/hpesc/public/docDisplay?docId=a00078475en_us&docLocale=en_US#N1011B 

출처 : https://support.hpe.com/hpesc/public/docDisplay?docId=a00078473en_us&docLocale=en_US

 

Document Display | HPE Support Center

 

support.hpe.com

 

'HPE' 카테고리의 다른 글

3PAR Storage 구성방법  (0) 2023.04.17
HPE Superdome Flex Rack Mount (슈퍼돔 플렉스 랙 마운트)  (1) 2023.01.12

회사에 열린 포트가 80번과 443포트뿐...

그래서 ezhlep로 원격을 붙힐려고하니까...

이상태에서 무한대기가됨... ㅡ ㅡ 처음엔 그냥 로그인하는데 오래걸리나 했는데...

네트워크를 핫스팟으로 바꿔서 하니까 그냥 기다리는 시간도 없이 바로 로그인됨ㅡㅡ

그러다가 접속포트를 바꾸면 될꺼같은데...라고 생각하던중

설정에서 포트포워딩 설정을 발견...

(이전 게시글에 사내 네트워크망에 뚫린포트는 80번과 443번뿐...)

바로 원격포트 80번이랑 443번추가...

근데 회사에서 찾은게 아니라...집에와서 추가해벌임...;;

아마도...?접속이 되지 않을까싶음

 

만약에 뚫린포트가 다른게 있다면 그거 넣으시면됩니다

저는 사내 포트가 저거 두개만 뚫려있어서 저걸로 넣은거예유

이상하게도 회사에 개인 노트북을 가지고갔는데

SSH연결이 안되는것이였다... 회사에서 지급해준 노트북은 윈도우 노트북인데 너무나도 당연하게 SSH연결이 된다...요상하다....

더 신기한거는 ping은 서로 간다는것...

위 사진처럼 그냥 무작정 기다림...기다리고 또 기다림...

그러다가 시간이 지나면...

 

MacBook-Air:~ 사용자$ ssh root@192.168.131.188 -p 22 -vvv
OpenSSH_9.0p1, LibreSSL 3.3.6
debug1: Reading configuration data /etc/ssh/ssh_config
debug1: /etc/ssh/ssh_config line 21: include /etc/ssh/ssh_config.d/* matched no files
debug1: /etc/ssh/ssh_config line 54: Applying options for *
debug3: kex names ok: [diffie-hellman-group1-sha1]
debug1: /etc/ssh/ssh_config line 64: Applying options for *
debug2: resolve_canonicalize: hostname 192.168.131.188 is address
debug3: expanded UserKnownHostsFile ‘~/.ssh/known_hosts’ → ‘/Users/사용자/.ssh/known_hosts’
debug3: expanded UserKnownHostsFile ‘~/.ssh/known_hosts2’ → ‘/Users/사용자/.ssh/known_hosts2’
debug1: Authenticator provider $SSH_SK_PROVIDER did not resolve; disabling
debug3: ssh_connect_direct: entering
debug1: Connecting to 192.168.131.188 [192.168.131.188] port 22.
debug3: set_sock_tos: set socket 3 IP_TOS 0x48
debug1: connect to address 192.168.131.188 port 22: Operation timed out
ssh: connect to host 192.168.131.188 port 22: Operation timed out

 

Operation timed out이라고 하면서 그냥 시간초과로 튕겨낼뿐이였다...

온 사방팔방 구글링하면서 찾아본 결과...

해보라는 방법은 다해보았지만 효과가 없었다...

 

그렇다 그 이유는 방화벽 장비에서 22번 포트를 틀어막은건지 맥os와 관련된 어떠한 설정 부분만 틀어막은건지...

아예 통신이 안되는점이였다...(암만 서버실 찾아봐도 방화벽장비가 안보였는데...내가 모르는 다른곳에 방화벽을 둔거같더란...ㅡ3ㅡ)

 

여튼 각설하고 해결방법 이전에 필요한 준비물이 있다...

바로 서버에 열려있는 포트를 알고있을것...

그리고 원격접속으로 붙을 서버를 로컬로 붙어있을것...(ssh 포트바뀌면 접속 튕기기때문)

 

 

맥에서 brew를 통해서 nmap을 설치해주자 > brew가 설치되어있지않으면 검색해서 brew를 설치하자

그리고 나서 nmap (검색할ip)를 넣으면

열려있지만 죽어있는 포트가 나온다...

닫혀있는 포트는 filtered에 포함되서 나오질 않는다...

나는 열려있는 포트가 80번과 443번이였다

 

열려있는 포트가 확인됐으면

 

서버에 들어가서 설정을 바꿔주자

설정 바꿔주기전에 sshd서비스 중지할것!

vi /etc/ssh/sshd_config를 수정해주자

만약에 위에 경로가 없다면

ssh 관련 패키지가 설치가 안되어있을꺼다... yum으로 ssh설치해주자...

내리다보면 초반부에

#Port 22

#AddressFamily any

#ListenAddress 0.0.0.0

#ListenAddress ::

라는 부분이 있다 그부분을 위에같이 주석해제하고 포트를 80번으로 변경해주자

그리고 그 밑에 Protocol 2를 적어주자...이부분도 주석으로 되어있는 사람이있고 아닌사람이 있는거같다...

리눅스 버전에 다르니 확인하고 없으면 넣어주시고 있으면 주석해재하고 프로토콜2로 변경해주자

 

그뒤에 SElinux도 중지시켜줘야한다 (사실 둘중 뭘 먼저해도 상관은없음...쓰다보니...이걸 앞에안써버려서...그냥 뒤에씀...)

들어가면 중간에 덜렁 혼자 주석처리 안된 SELINUX라고 써있는 문장있음 이거 disabled로 변경 후 저장후

setenforce 0으로 완전히 SElinux 꺼버리자

그다음에 sshd 서비스를 재시작해주자

centOS 8버전은 명령어 다르니 찾아보고 서비스 재시작해줄것

 

그러고나서 접속할려던 서버 접속해보자

ssh root@접속할려던ip -p 80

으로 접속하면 기깔나게 접속이 된다...

 

요약하자면....포트를 기존 ssh 22번포트가아닌 80번포트를 활용해서 접속했다

나는 테스트장비이기도 하고 사내 ip여서 22번포트 뚫어서 사용해도 아무런 상관이 없지만

그런게 아니고 중요한 장비이면...이방법은 비추한다...

 

추가적으로 

접속할려는 장비가 리눅스가 아닌경우

퍼미션이 거절되어서 접속이 안되는데

이런경우에는 앞에 계정명을 붙혀서 접속을하자

위 사진처럼 계정명@접속하고자하는ip

3par인 경우에는 꼭 계정명을 붙혀주자...그냥 접속했다가 위에처럼 퍼미션 디나이떠서 몇분 삽질함...;;

여느때와 다름없이....

트위치를 보면서 시간을 때우던중 트위치가 30초에 한번씩 끊기는걸 깨닫게됨...

흠...뭔가 이상한데 하고 속도 테스트를 하니...

뭔 이런 말도안되는속도가 나옴...  다운이 6메가...?이게 자칭 인터넷 강국이라도 떠느는 K-인터넷의 속도인가...?

업로드도 처참한수준... ㅡ ㅡ....

그래서 구글링해보니...나만 그런게 아닌가보다...

말이 엄청 많았다...

그렇게 여차저차 찾다보니 와이파이 보단이 WPA2가 아니면 속도 저하가 난다고 한다...

생각해보니 와이파이 탭을 열어보면 보안문제가 있다고 항상 떠있던데...

그래서 나는 kt 반기가(500mb)를 쓰고있어서 공유기 설정에 WPA모드가 기존에는 WPA&WPA2로 되어있는걸 WPA2로 변경했다....

 

그 후 다시측정

오...속도가 확 증가했다

하지만 읭...아무리 그래도 500mb회선쓰는데... 속도가...이게 맞나..?싶어서 자료를 좀 더 찾아본결과...

config파일을 삭제하면 속도가 원래 속도가 나온다는 소리가 있다는 말에...그냥 생각없이 지워버림...

 

라이브러리 폴더 밑에 프리퍼런스 폴더밑 시스템컨피그 뭐시기쪽에 가면 이런 파일들이 있는데

이걸 지워주면 속도가 정상 속도가 나온다고 해서 지워벌임...ㅡ ㅡ 근데 왠걸...

와이파이 설정이 먹통이되고 네트워크 설정칸도 먹통이됐다...

보이는가...? 분명 와이파이는 연결이되어있지만 와이파이 밑에보면 인터넷 연결 없음...

막상 인터넷키면 인터넷 잘됨... 와이파이 끄기 버튼 눌러도 안꺼짐;;

그리고 네트워크 설정들어가면 암것도 안나옴...;;

절대로 저 위에 5개 파일 삭제하지마세요...당해버림...;;

추가적으로 저 위에 5개 파일 삭제하니 속도 다시 원상태로 복귀함 ㅡ ㅡ그냥냅둘껄...

 

결론. 와이파이 보안설정이 WPA2가 아니면 WPA2로 변경후 속도를 측정해보자

WPA2인데 속도가 안나오면...그건 나도 몰?루

'Mac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zhelp 원격포트 변경  (0) 2023.01.10
MacOS SSH 원격접속 안될때  (0) 2023.01.10
Mac OS 네트워크 프린터 안잡힐때 설정법  (0) 2023.01.02

아무리 구글링하고 네이버 찾아봐도 안나와서 그냥 답답해서 블로그 하나만들어서

맥북 네트워크 프린터설정 공유해봅니다...

회사에 네트워크 공유 프린터가 있어서 그걸 연결할려고했는데 웬걸...프린터 목록에는 나오지만 도통 연결이 안되는것...

이프린터와 통신이 되지않습니다 등등 오만가지 오류를 다봤음

 

그래서 Lexmark홈페이지 뒤적여서 맥용 드라이버를 설치해도 효과가 없음 ㅡ ㅡ....

회사에는 맥북쓰는 사람도없고...물어볼곳도 없음...

그러다가 우연히...설마...하는 생각으로 네트워크 프린터주소:80 포트를 줬습니다...

 

 

프린터 추가 뒤에 80번 포트를 넣었습니다...

이상태에서 추가를 눌러도 통신이 안된다고 할껍니다. 그냥 추가하기 대뜸 눌러버리세요

계속 누르십시오...

 

그럼 이렇게 프린터 하나 생기는데

이상태로 테스트 프린터 하나 해보세요 txt파일 하나 만들어서 뽑아보세요

그러면 프린터 앱 활성화되면서 프린터랑 연결중...뜨면서 될껍니다...

한번에 안된다면 다시 한번더 해보세요

 

그래도 안된다면...저는 모르겠습니다 80포트가 막혀있어서 안되는걸수도... 다른 포트를 찾으셔야될꺼같네요

 

결론. 네트워크프린터 뒤에 포트80번을 넣는다.

'Mac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zhelp 원격포트 변경  (0) 2023.01.10
MacOS SSH 원격접속 안될때  (0) 2023.01.10
맥북(Mac OS) M1 와이파이 속도저하 문제  (0) 2023.01.03

+ Recent posts